공인인증서 폐지 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동안 사용해오던 공인인증서 폐지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인인증서는 1999년 도입되어 인터넷 뱅킹이나 인터넷 쇼핑, 국세청 홈택스, 민원 24시 등 각종
민원서류까지 전자상거래에서 본인임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디지털 신분증이었습니다.
공인인증서는 인터넷에서 이용자들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국가가 인정한 기관이 인증서를
발급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던 것입니다.
공인인증서는 나라에서 인정한 6개 기관 금융결제원, 코스콤, 한국 정보인증, 한국 전자인증, 한국 무역
정보통신, 이니텍에서 발급한 인증서만 공인된 인증서로 인정되었습니다.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면서 불편함도 있었는데요.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려면 액티브엑스(ActiveX), 방화벽, 백신, 키보드 보안프로그램 등 금융기관별로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 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많은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번거롭기도 했지만 컴퓨터의 성능을 저해하기도 했었습니다.
또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려면 일 년의 유효기간으로 일 년에 한 번씩은 갱신이 되어야 하고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도 특수문자, 대문자, 소문자, 숫자 등을 사용해 10자리 이상이어야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지금까지 여러 기관에서 공인인증서를 사용했었던 건 그만큼
안전하고 잘 관리된 기술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이렇게 사용되어 오던 공인인증서가 12월 10일부로 폐지한다고 합니다.
전자서명 평가기관 선정 기준과 절차, 인정. 평가 업무 수행 방법, 전자서명 가입자 신원확인 방법 등을
담은 전자서명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1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공인인증서 폐지로 기존 공인인증서를 앞으로 쓰지 못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발급받은 유효기간까지는 인증서로서의 역할은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새로운 전자서명
기존 공인인증서는 6개 기관의 인증서만 인정되었다면 새롭게 도입되는 방식은 다양한 기업의 전자서명과
함께 다양한 모바일 인증과 생체인증, 블록체인 인증 등 차세대 인증 방식도 가능해질 것 같습니다.
앞으로 도입되는 전자서명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관련 브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아도 전자인증이 가능하고
비대면으로도 가입자의 신분 인증 가능, 생체인증 또는 간편 비밀번호로 이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패스(PASS)
현재 출시되어 사용 중인 사설 인증서비스로는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내놓은 패스(PASS)가
있습니다. 패스는 11월 기준 2000만 건을 돌파할 만큼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패스 인증서는 패스 앱에서 6자리 핀 번호나 지문 등 생체 인증을 진행하면 1분 내에 발급이 가능하고
발급받은 인증서는 3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패스는 대형 금융기관 및 핀테크 업계에서도 도입이 활발하고, NH농협은행과 올원 뱅크, 한국저작권
위원회 등 100여 개 기관에서 간편 인증 수단으로 패스 인증서를 활용하고 있고, 내년 1월부터 국세청
홈택스, 정부 24시 등 공공기관에서도 패스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사용할 다양한 인증서의 간편하고 보안성이 높은 전자인증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많은 국민들이 금융거래나 서류, 업무처리를 빠르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도움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감독원 민원신청 방법 (0) | 2020.12.13 |
---|---|
나이스 지키미 무료 신용조회 방법 (0) | 2020.12.06 |
황반변성 증상 및 치료 (0) | 2020.12.02 |
등 통증 증상의 신호 (0) | 2020.11.28 |
홍삼 효능과 부작용 복용 방법 (0) | 2020.11.11 |